- 카카오뱅크 관련주 예스24 분석 -
카카오뱅크 상장 이슈로 관련주들이 급등했는데 그 중 대장주인 예스24를 분석해보려고 한다.
다음주 흐름이 기대되는 차트이다.
먼가 마크가 귀엽다.
홈페이지
http://www.yes24.com/Main/default.aspx
그냥 검색하면 서점 사이트가 나온다.
회사소개 사이트는 이쪽이며 전자 사이트보다 단촐하다.
국내 최초의 인터넷 서점이라고 한다. 1위 인터넷 서점이라고 하는데 나는 교보문고가 1등인 줄 알았다.
인터넷 도서 관련 사업을 한다
회사위치
본사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11 5층-6층(여의도동,일신빌딩)
기업개요
설립일 : 1999/04/01
상장일 : 2008/05/07
대표이사 : 김석환
https://www.mk.co.kr/news/culture/view/2019/01/63785/
[인터뷰] 김석환 예스24 대표 "`구독 경제`가 전자책 시대 이끌 것"
월 5500원에 무제한 빌려 읽는 `북클럽` 구독자 3만명 넘어서 음성인식 단말기로 장애인 돕고 잔디 깔린 고급매장 만드는 등 업계 선도할 아이디어 많아 대형 서점 막는 규제는 아쉬워
www.mk.co.kr
종업원수 : 512명
주주현황 : 한세예스24홀딩스(외 8명) (55.50%)
사업내용
온라인 판매 비중이 더 늘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코로나19 때문이라도 당연할 것이다.
인터넷서점 방문율은 예스24가 압도적으로 1위이고 그 다음이 교보문고이다. 근데 예스24는 도서 뿐만 아니라 티켓까지 판매하는 사이트라서 더욱 그럴수도 있다.
티켓 관련 분야는 인터파크가 1위 그다음이 예스24이다.
상품판매라고 하면 단순히 예스24에서 판매하는 모든 것들을 총칭하는 듯하다.
재무제표
자산이 저번보다 1200억원 가량 늘었는데 자본이 1000억원 가량 늘었다. 자본 쪽을 한번 살펴봐야 될 것 같다.
기타자본구성요소와 이익잉여금(결손금) 항목이 크게 증가했다.
전체 표를 보면 좀 복잡해 보일 수도 있는데 간략히 말하면 기타자본구성요소와 이익잉여금이 모두 기타포괄손익이 증가해서 증가했다.
주석을 한번 살펴보자.
주석을 살펴봐도 기타포괄손익이 증가한 것 외에는 더 자세한 정보를 찾을 수 없다. 이 기타포괄손익이라는 것은 영업 활동을 제외한 부수적인 활동이나 투자를 통해 늘어난 자본을 의미할 것이다. 기타자본구성요소와 이익잉여금에서 총 1000억원 가까이 증가했는데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궁금해진다.
주석 부분을 훑다보니 1000억원 비슷한 수치로 증가한 내역은 이부분 밖에 없다. 금융자산의 총합이 1000억원 가까이 증가했는데 시장성 없는 지분증권이란 항목에서 증가했다. 더 세부적으로 보면 수준 2 라는 게 당기말 1300억원 가까이 증가했고 수준 3은 300억원 가까이 감소해서 총 1000억원의 이익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로 표 위에 설명을 읽어보면 공정가치 서열체계 라는 말이 나오는데 공정가치라는 것은 어떤 금융상품에 대해서 매수자와 매도자가 서로 거래가 가능하도록 공평하게 측정한 금액을 의미한다.
공정가치 평가 기준에는 총 3단계가 있는데 수준 1, 수준 2, 수준 3 이 있다. 각 평가 기준은 해당 가격에 대한 신뢰도를 의미하며 수준 1이 가장 측정가에 대한 신뢰도가 높다고 할 수 있겠다.
수준 1은 쉽게 말해 주식이나 선물 등과 같이 거래소 등의 활발한 시장에서 거래되어 평가하기 명확하고 신뢰도가 높은 금융상품을 의미한다.
수준 2와 3은 수준 1을 제외한 금융상품들을 의미하는데 그 중 최근에 거래된 적이 있거나 비슷한 상품이 거래된 적이 있어 해당 자료를 참고할 수 있는 경우 수준 2에 해당하고, 그러한 자료 조차 없이 단순히 측정할 수 밖에 없는 경우 수준 3에 해당한다. 구체적인 예시를 들면 좋겠는데 찾아봐도 잘 모르겠다.
카카오뱅크가 수준 3에서 약 370억원으로 측정되어 있다가 요즘 카카오뱅크 IPO 이슈가 부상하면서 전문가들이 해당 기업이 상장하게 되면 어느정도 가치가 있을 것인지 측정하게 되고 그러다보니 약 1300억원으로 측정되고 수준 2로 올라간 것 같다.
결론적으로 예스24는 카카오뱅크 비상장 지분을 370억원 갖고 있었고, 최근 공모가가 책정되면서 좀더 정확하게 가치를 측정하고 나니 1300억원으로 계산되어 자본금이 확 올라간 것 같다.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모두 상승했다. 딱히 인터넷 도서 사업은 코로나19에 영향이 크게 없을 것 같으며 오히려 비대면의 활성화로 인해 수요가 더 증가하지 않았을까 예측해본다.
관련뉴스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4/05/2021040502179.html
엎친데 덮친 예스24, 코로나19에 자회사 부진까지
예스24가 비교적 좋은 실적을 냈음에도 웃지 못한다.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증 여파로 공연 사업부문이 직격탄을 맞았다. 여기에 연결 자회사 대..
it.chosun.com
영업이익이 좋게 나왔음에도 최근뉴스를 살펴보면 공연 사업 부문이 코로나19로 직격탄을 맞아 별로 좋지 않은 상황이라는 것 같다.
https://www.etoday.co.kr/news/view/2047377
[급등락주 짚어보기] 예스24ㆍ한세예스24홀딩스, 카카오뱅크 지분투자 100배 수익 '잭팟'
23일 국내 증권 시장(코스피, 코스닥)에서 상한가를 기록한 종목은 한세예스24홀딩스, 예스24, 세종메디칼, 유니드 등 총 4개 종목이다. 하한가는 없
www.etoday.co.kr
카카오뱅크가 상장하게 되면 지분가치가 1300억원에서 약 2215억원으로 증가한다고 한다. 뭐 사실 회사 영업이랑은 별 연관이 없어서 현재 주가 상승세가 계속될 것으론 보이지 않는다.
핵심 요약
1. 예스24는 인터넷 도서 판매 전문 기업이다.
2. 영업이익은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공연 사업이 악화되면서 전망이 그리 밝지는 않다.
3. 카카오뱅크 지분을 약 1.4% (1300억원어치) 소유하고 있다.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으며 인터넷 내용은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기업분석 > 코스닥'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전약품 (307750) 분석 - 원료의약품 생산 회사. 매출,영업이익,자산 증가. 코로나치료제 후보 물질 원료 공급 중. (0) | 2021.07.31 |
---|---|
한국비엔씨 (256840) 분석 - 미용성형제품, 수술/시술용 제품 판매. 판관비 증가로 영업이익 감소. 코로나치료제 물질 대만 라이선스 계약. (0) | 2021.07.31 |
에스씨디 (042110) - 에어컨, 냉장고 등에 들어가는 냉매밸브 공급업체. 실적 견조. 폭염 관련주로 상승세. (0) | 2021.07.18 |
KG ETS (151860) - 폐기물 처리 관련 회사. 자산 6배 증가. 영업이익 40억 증가. (0) | 2021.07.18 |
옴니시스템 (057540) - 디지털 계량기 제조 회사. 적자폭 축소. (0) | 2021.07.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