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에 올라오는 모든 글은 순전히 글쓴이의 공부 및 생각을 정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하는 글입니다.
모든 글의 내용들은 저의 개인적인 의견일 뿐이며 절대로 투자 조언 및 권유 글이 아닙니다.
투자 판단과 의사 결정 그리고 거래에 대한 모든 손익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작성한 글의 자료들은 인터넷 등의 자료를 활용하여 작성되었으며,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이번엔 통신사를 한번 분석해보려고 한다.
생각해보니 유플러스가 무슨 의미일까?
사업부문은 모바일, 홈, IOT, 기업 부문으로 나뉜다.
각 사업 소개는 광고 형식으로 되있어서 생략하겠다.
이건 좀 귀여워서 한번 캡쳐해봤다.
- 회사 위치 -
본사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32 LG유플러스 빌딩
마곡사옥 :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중앙8로 71(마곡동)
상암사옥 :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416 (상암동)
대기업 아니랄까봐 사옥도 많다..
평촌 메가센터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관양동 1743-7
- 기업 개요 -
설립일 : 1997/07/11
상장일 : 2008/04/21
대표이사 : 하현회
종업원수 : 10,638명
평균연봉 : 5,224만원
신입연봉 : 3,555만원
- 주주 현황 -
LG(37.66%)
국민연금공단(10.46%)
컨버전스 : 여러 정보통신 기술이 융합되는 것. 예를 들면 스마트폰 사업이 있다.
MSO : 복수의 종합 유선 방송국을 소유한 사업자를 뜻한다.
MVNO(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 통신망을 소유하지 않은 사업자가 MNO(Mobile Network Operator) 로부터 통신망을 빌려 사업을 하는 것을 말한다. MNO로는 대표적으로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가 있다.
LG그룹 상장사는 총 13개사이다.
- 사업 내용 -
첫번째는 컨슈머모바일 사업이란 건데 스마트폰 데이터 사업이라 보면 될 것 같다.
딱히 경기나 계절에 따른 영향은 없다.
시장점유율은 SK텔레콤이 1위이고 그다음 KT, LG유플러스 순이다.
두번째는 스마트홈 사업인데 스마트 TV 사업, 인터넷 WIFI 사업, 홈 IOT 사업으로 나뉜다. 홈 IOT 사업은 구체적으로 뭔지 잘 모르겠다.
가정 인터넷과 스마트 TV 사업은 모두 KT가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세번째로는 기업 인프라 사업인데 IDC 사업, 기업회선 사업, 솔루션 사업으로 나뉜다. IDC 사업은 대용량 서버 등을 제공해주는 사업 같으며 그 외 나머지 2개는 그와 비슷비슷한 느낌 같은데 잘 모르겠다.
전화 사업은 별도로 존재한다.
신규 사업으로는 VR이랑 클라우드 쪽으로 사업을 시도하고 있으며 키즈 맘들을 위한 서비스도 늘려가고 있다.
주요 매출은 유무선 통신 서비스다. 우리가 스마트폰 사용하면서 쓰는 데이터를 생각하면 될 듯 하다.
그 외 자회사 중에서는 LG헬로비전의 케이블TV 사업이 가장 잘 나간다.
<재무제표>
부채비율이 높긴 하지만 큰회사라 별 의미는 없으며 매출과 영업이익은 증가했다.
www.mediasr.co.kr/news/articleView.html?idxno=65948
영업이익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는 5G 알뜰폰 가입자의 증가이다. 코로나 19 로 인한 경기 악화임에도 오히려 실적이 작년보다 좋은 것은 대단한 선방이라고 본다.
특이사항으로는 재고자산이 작년대비 거의 절반 가량 줄었는데 알뜰폰 판매의 증가로 인해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기업분석 > 코스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팬오션 028670 - 해운 사업. 실적 순항 중! (0) | 2021.03.05 |
---|---|
유니온머티리얼 047400 - 자동차 모터용 자석 제조업체. 중국발 무역전쟁 이슈인 희토류 자석을 대체할까? (0) | 2021.02.19 |
동방 004140 - 해상 및 육상 물류 사업 영위. 쿠팡 관련주. (0) | 2021.02.15 |
LS 006260 - LS그룹의 지주회사. 전선, 전력기기가 주력 사업. (0) | 2021.02.13 |
포스코케미칼 003670 - 생석회, 배터리, 내화물 사업 등을 영위. (0) | 2021.02.09 |
댓글